본문 바로가기

연구노트/회로 설계

(9)
RESET 회로 RESET 회로 설계 리셋의 개념 정의 리셋 신호란?리셋 신호는 CPU 및 다른 소자들을 초기화 하는데 사용하는 신호로 반드시 규정에 맞게 공급해야 하는 신호입니다. MCU를 초기화 한다고 이해하면 됩니다.대부분의 CPU들은 전원을 공급해 준다고 해도 스스로 초기화하지 못하므로 CPU가 정상 동작 하기 위해서는 RESET 신호가 필요합니다.POWER ON RESET 원리 ● POWER ON RESET 원리 -1파워 온 리셋회로를 설명하면, 저항과 커패시터의 충전, 방전을 이용해 리셋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입니다. 파워 온이 되면 전하가 저항을 통해 커패시터에 충전 (-)다이오드는 충전시에는 역방향으로 되어 있으므로 전하가 다이오드를 통과하지 못합니다. 이때 충전 시간은 저항값과 커패시터의 용량에 따라 정..
다이오드의 회로 동작 다이오드의 회로 동작 다이오드의 개념 정의- P-N 접합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소자입니다.- 순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저항이 매우 적고,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저항이 매우 커집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다이오드는 정류 작용을 합니다. 이를 활용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합니다.- P형 반도체의 단자를 애노드(+), N형 반도체의 단자를 캐소드(-)라고 합니다. 다이오드 동작 원리다이오드의 회로 동작- 다이오드는 PN접합으로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N형 반도체는 전하를 움직이는 운반자로 자유전자가 사용되고, P형 반도체는 전하를 움직이는 운반자로 정공이 사용됩니다.- 두 반도체를 접합하면 정공과 전자가 재결합하여 중성화됩니다. 그 자리에는 이온들만 남는 영역이 생기는데, 이 영역을 ..
레귤레이터란? 레귤레이터란? 레귤레이터의 개념 정의- 일정한 전압을 출력해주는 IC, 흔들리는 전압을 정전압화시켜 일정한 출력전압을 출력합니다.- 일반적으로 입력전압을 낮추어서 원하는 전압을 얻는데 사용합니다.- 회로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고, 민감한 전자 부품을 전압 변동으로부터 보호합니다.리니어 레귤레이터 1. 리니어 레귤레이터 (Linear Regulator)- 3단자 레귤레이터 또는 Dropper등으로 불립니다. 기본적으로 입력, 출력, GND핀으로 구성되며, 출력이 가변일 경우 출력전압의 귀환이 필요하므로 피드백 핀이 추가됩니다.- 직접적으로 전압을 떨어뜨리는 방식이며, 입력전원을 낮추는 방식만 가능합니다.- 전압변환 과정에서 열이 많이 발생하여, 방열판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열로 전력효율이 낮은 단점이..
인덕터란? 인덕터란? 인덕터의 개념 정의인덕터는 코일이라고 불리며, 전류의 변화를 방해하는 성질을 가진 소자입니다.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여 저주파를 통과시킵니다. 인덕터가 가지고 있는 성질을 인덕턴스라 하고 헨리(H) 단위를 사용합니다. 인덕턴스 값은 코일이 감긴 횟수와 코일의 크기, 코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됩니다. 인덕터의 역할인덕터의 역할은 크게 5가지로 나뉩니다.1) 필터 : DC신호는 잘 통과시키지만, AC신호(특히 고주파)는 차단합니다.2) 에너지 저장 : 충, 방전을 반복하여 과도 파형을 만들어 내는 기능을 합니다.3) 완충 : 보조배터리처럼 전류를 충전한 후 전압을 출력하는 기능을 합니다.4) 평활 : 맥류 신호를 일정한 직류 평균 전압으로 만들어 주는 기능을 합니다.5) 커플링 : 1차 교류 신호를..
회로에서 저항 역할 회로에서의 저항 역할 수동소자의 개념 정의저항의 기능과 역할을 알아보기 전에 수동소자의 개념을 알아보고 가겠습니다.수동소자란?공급된 전력을 소비(R), 축적(C), 저장(L)하는 소자로 수동소자만 조합하여 증폭, 발진, 정류와 같은 기능은 불가능합니다.외부 전원 공급 없이도 회로에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수동소자는 저항(R), 커패시터(C), 인덕터(L)가 있습니다. 물론 능동소자도 있지만 이 부분은 나중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회로에서 저항의 기능1. 전압분배 ● 직렬로 연결한 저항 두개에 걸리는 전압은 저항값의 크기에 따라 전압이 분배됩니다. ● 전원회로에서 전압이 입, 출력 되고 있는지 검출하기 위한 회로에서 주로 사용합니다. 2. 전류제한 ● 저항은 옴의 법칙에 따라 전류제한이 가..
커패시터란? 커패시터의 특성 커패시터란?커패시터란 콘덴서 축전기라고도 불리는 소자로 전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소자입니다.2개의 도체판 사이에 절연체(유전체)가 들어간 구조로 되어있습니다.이 절연체는 전극판과 전극판 사이의 전기를 차단하고 전기를 담아두는 역할을 합니다.어떤 재질의 절연체를 포함하느냐에 따라 커패시터의 종류가 나누어집니다. 두 도체판 사이에 전압을 걸게되면 음극에는 (-) 전하가 양극에는 (+) 전하가 유도되고 이로 인해 전기적 인력이 발생합니다.이 인력에 의해 전하들이 모여있게 되어서 에너지가 저장됩니다. 이 때 모이는 전하량은 전압에 비례하게 됩니다. 커패시터가 전하를 충전할 수 있는 능력을 커패시턴스 혹은 정전용량이라고 합니다.용량 단위는 F(패럿)이며, 일반적으로 pF, μF 단위를 주로 사..
DC 어댑터 스파크 문제 해결 방안 DC 어댑터 스파크 문제 해결 방안 연구 목적DC 어댑터 사용 시 발생하는 스파크 현상의 원인을 분석합니다.이후,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스파크 현상은 장비의 수명 단축, 신뢰성 저하, 안전 위험 등을 초래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해결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문제점으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PCB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커넥터를 꽂는 순간 스파크가 발생하여간할적으로 보드가 죽어버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스파크 발생 원인 분석 ○ 원인 분석1. 돌입 전류(Inrush Current)DC 어댑터를 연결하는 순간 발생하는 높은 초기 전류부하의 특성(특히 커패시터 입력 필터)에 따라 정상 동작 전류의 수십 배까지 발생 가능 2. 접촉 불량 및 기계적..
트레이스(Trace) 저항 트레이스(Trace) 저항 트레이스(Trace) 저항이란? 트레이스 저항은 PCB (Printed Circuit Board) 회로 기판에서 트레이스(회로 경로)가 갖는 저항값을 의미합니다. 즉, 전기 신호가 트레이스를 따라 흐르면서 경험하는 저항값으로, 트레이스의 재질, 폭, 길이, 두께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아래 그림에서 보이는 구리 선을 트레이스(회로 경로)라고 합니다. 트레이스(Trace) 저항 고려 사항 트레이스 저항 선정 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고려하여 저항을 선정합니다.고주파 회로: 고주파 신호는 저항에 의해 왜곡되기 쉬우므로 트레이스 저항을 최소화해야 합니다.고전류 회로: 고전류가 흐르는 트레이스는 저항으로 인해 열이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트레이스 폭을 충분히 확보해야 합니다. 트레이스..